화장실에서 ‘쿵’…노년층 자주 겪는 ‘이 사고’, 치매 위험 69% 높인다 > 회원동정

본문 바로가기

회원동정 상세

화장실에서 ‘쿵’…노년층 자주 겪는 ‘이 사고’, 치매 위험 69% 높인다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작성일25-10-28 07:41 조회111회 댓글0건

본문



낙상 등으로 인한 노년기 외상성 뇌손상이 단순 부상을 넘어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.

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이 65세 이상 노인 26만4226명을 17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, 외상성 뇌손상을 겪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5년 이내 치매에 걸릴 위험이 69% 높았다. 5년 이후에도 발병률은 56% 높았다.

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, 낙상, 산업재해 등 외부 충격으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상태를 말한다. 외상은 경미한 뇌진탕부터 중증 뇌부종, 뇌출혈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.

외상성 뇌손상은 치매 발생뿐 아니라 장기 요양의 필요성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. 외상성 뇌손상을 입은 그룹은 가정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30% 높았고, 장기 요양 시설에 입소하는 비율도 45%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.

치매 위험 증가는 연령과 성별, 거주 지역에 따라서도 달랐다. 외상성 뇌손상을 겪은 85세 이상 노인은 3명 중 1명이 치매에 걸릴 것으로 예측됐고, 여성의 치매 발생률이 남성보다 높았다. 특히 저소득 지역 거주 여성의 치매 발생률은 29%로 같은 조건의 남성(27.4%)에 비해 높았다.


연구팀은 “노년기 뇌손상이 장기적으로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를 유발하는 원인임을 수치화했다는 점, 연령·성별·소득 수준·거주 지역 등 사회적 요인에 따라서도 뇌손상 후 결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”고 말했다.

이어 “특히 뇌손상 발생 후 5년 이내에 치매 발생 위험이 가장 컸다는 점에 주목해 이 기간 집중적인 개입이 필요하다”라고 강조했다.

해당 연구 결과는 지난 5일 캐나다의학협회저널(CMAJ)에 게재됐다.

전 세계적으로 연간 6800만명이 외상성 뇌손상을 입는 가운데 특히 노년층은 노화로 인해 균형 능력이 저하되고 순발력이나 민첩성이 떨어져 낙상 사고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.







“과태료 10배 폭탄”…휴가 다녀왔다면 ‘이것’ 꼭 확인하세요
“이게 3000원이라니”…‘다이소 단독 콜라보’ 품절 대란
“암이네요”…생방송 중 ‘충격’ 소식 접한 美 TV 진행자, 무슨 일
[오늘의 운세] 2025년 3월 31일
“드르렁, 컥” 수면중무호흡, ‘비만약’으로도 치료 가능…국내 허가받았다
휠체어 등 90개 품목 장애인 보조기기 구매 땐 일부 환급 [알아두면 쓸데 있는 건강 정보]
“‘이것’ 착용한 채 잠자는 습관, 조기 노화 부른다”…전문가 경고 보니
“퍼스널 컬러 진단 무료!”…MZ 사로잡는 ‘체험형 매장’ 낸 편의점
“우린 다이소 안 가도 돼요”…먹거리·생필품 ‘4개 천원’에 파는 이곳






6m3uwt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